온라인 원격진료, ‘편리하지만 정확한 진료 가능한지 의문’
병원이용 및 온라인 헬스케어 관련 조사 결과 발표

소비자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병원 이용 및 온라인 헬스케어 관련 조사 결과 병원 방문 시 가장 고려하는 요인으로 병원의 전문성·의사의 실력 등이 꼽혔고 의료기관 만족도는 종합병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도출됐다.

트렌드모니터는 이지서베이와 함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병원 이용 및 온라인 헬스케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근 1년 동안의 의료기관 방문은 약 3회~5회 미만 20.3% 또는 5회~10회 미만 28.5% 정도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4일 밝혔다.

또한 진료과목 중에서는 치과 방문 경험이 가장 많았으며 ▲정형외과 40.1% ▲호흡기과 35.2% ▲소화기과 32.9% ▲피부과 32.1%를 찾는 환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가장 많이 찾은 의료기관은 동네 개인병원이 92.4%로 1위였으며 ▲종합병원 60.1% ▲한의원53% 순이었다.

특히 각 병원 별 만족도에서는 종합병원이 개인병원이나 한의원에 비해 훨씬 낮은 평가를 받았다.

진료 접수 대기시간과 진료 대기시간·약 수령 대기시간의 세 가지 항목에서 모두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

또한 진료 접수 대기시간의 경우 ▲한의원 51.1% ▲개인병원 49.5% ▲종합병원 17%의 순서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진료대기 시간도 ▲한의원 41.9% ▲개인병원 38.3% ▲종합병원 10.3%의 순서였다.

반면 약 수령 대기 시간은 개인병원 만족도가 52.6%로 제일 높은 가운데 ▲종합병원 20.3%이 역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환자들이 병원을 방문할 때 가장 고려하는 요인은 병원의 전문성이었다.

또한 ▲임상 경험 등의 의사 실력 21.9% ▲병원까지의 거리 16.4% ▲병원 유명세 11.4%도 중요한 고려 요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각 요인의 고려도가 연령대별로 다르게 도출됐다.

병원의 전문성은 50대 이상이 특히 중요하게 여겼으며 상대적으로 의사의 실력은 40대·병원까지의 거리는 30대·병원 유명세는 20대의 고려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더불어 최근에는 병원 방문 전에 질병 관련 정보를 온라인에서 찾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67%가 온라인에서 질병 관련 정보를 검색한 경험이 있었으며 대부분 포털 사이트(77.8%)를 정보 검색 경로로 이용하고 있었다.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검색하는 의료 정보는 증상과 관련한 질병의 종류 74.9%였으며 ▲질병 전문 치료 병원 49.6% ▲타인의 (한)의사 상담 내용 33%을 찾는 검색도 많았다.

이런 의료 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모두 높은 편이었다.

정보 이용자들은 의사와의 상담 내용 74.2%에 대해 가장 높은 신뢰를 보였으며 관련 질병의 전문 치료병원과 증상 관련 질병 종류에 대한 정보 신뢰도도 각각 61.9%·60.6%로 높았다.

또한 질병 완화의 목적의 정보 탐색도 꾸준하게 이뤄지고 있었는데 이런 정보들은 실생활에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었다.

특히 질병에 ▲좋은 음식 62.5% ▲운동 61.9% ▲질병 발병자 및 완치자의 경험담 58.3%이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문조사에 참여한 패널들은 최근 떠오르는 온라인 헬스케어에 대해 높은 이용 의향을 보였다.

향후 온라인 원격진료를 이용하겠다는 의향은 57%였으며 초진 후 재진 시 이용 의향은 이보다 높은 65.8%에 이르렀다.

온라인 원격 진료에 대한 높은 이용 의향은 주로 편리성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바쁜 생활 속에서 병원을 찾을 시간이 마땅치 않은 직장인들에게 보다 유용할 것으로 보이며 넷북이나 스마트폰 등 이동성이 편리한 디지털기기의 등장과도 연관지어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전체 70.2%는 온라인 원격 진료가 현재보다 진료를 편리하게 해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진료의 신속성을 높여줄 것이라고 내다보는 의견도 67.6%로 많았다.

더불어 시간 절감 79.9%과 비용 절감 69.2% 등의 측면에서 경제성이 높다는 인식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지만 부정적인 시각과 우려의 목소리도 일부 있었다.

특히 오프라인 진료와 정확성에서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20.7%에 불과해 10명 중 8명은 온라인 원격 진료의 정확성에 대한 불확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전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가능성 59%에 대한 우려도 상당했다.

한편 온라인 원격진료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질병으로는 정신과 57.6%와 피부질환47.2%·신경과 23.6%를 주로 꼽았으며 진료에 적합한 디지털기기는 ▲PC 70.9% ▲스마트폰 43% ▲원격진료 전용기기 34.4%라는 의견이 많았다.
메디컬투데이 양민제 기자 (

出處: http://news.nate.com/view/20110804n09912




‘다양한 펀드와 보험’, 가입부터 진단까지 재무설계전문가 필요
대처방안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이런 보험에 종류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살펴보면 대한민국 최대 관심사... 쇠약해지는 몸과 잦은 질병에 시달리게 되는데 가벼운 감기부터 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병과 상해를 보장해주니...
http://n.ccdailynews.com/sub_read.html?uid=227300§ion=sc2

온라인 원격진료, 편리한데 정확한 진료 될까?
답했다. 검색하는 내용으로는 증상과 관련된 질병의 종류가 54.0%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관련 질병 전문... 나타났고, 관련 질병 전문 치료 병원과 증상 관련 질병 종류는 각각 62.0%, 60.6%였다. 질병 완화 목적으로 탐색한...
http://www.datanews.co.kr/site/datanews/DTWork.asp?itemIDT=1002910&aID=20110805140819493

[변액연금보험]30~40대 직장인에게 필요한 절세 연금상품 인기
분류 방법이 존재한다. 위와 같이 소비자들은 여러 종류의 연금 상품의 이해와 자신에게 맞는 연금 상품을... 말 그대로 작은 질병인 감기에서부터 큰 비용이 드는 암이나 뇌졸중 등의 질병까지 모두 대상이 되며 상해사고...
http://news.donga.com/3/all/20110805/39325021/2

Posted by 캐나다비타민
,